2025년, 1,400만원 이하 소득자의 근로소득세율과 납부액, 이렇게 달라졌어요!


목차

  • 과세표준 1,400만원 이하, 세율은 얼마?
  • 기존과 2025년 세율 비교
  • 실제 납부액 계산 예시
  • 공제 혜택도 함께 살펴보기
  • 지방소득세는 어떻게 되나요?

과세표준 1,400만원 이하, 세율은 얼마?

2025년 기준, 연간 근로소득이 1,400만원 이하라면 6%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이는 소득세법상 가장 낮은 구간으로, 소득이 많지 않은 직장인이나 아르바이트생, 프리랜서 등에게 유리한 조건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 1,200만원을 받는 분이라면 과세표준이 1,200만원이 되고, 여기에 6%를 곱한 금액이 소득세입니다.

1,400만원 이하 소득자에게는 6% 세율이 적용됩니다.


기존과 2025년 세율 비교

지난해까지는 1,200만원 이하 소득자에게 6% 세율이 적용됐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1,400만원 이하로 확대되었습니다. 즉, 1,200만원에서 1,400만원 사이의 소득자도 6% 세율을 적용받게 되어 세 부담이 줄어들었습니다.

  • 2024년: 1,200만원 이하 → 6%
  • 2025년: 1,400만원 이하 → 6%

이 변화는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세금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입니다.


실제 납부액 계산 예시

연간 근로소득이 1,300만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과세표준은 1,300만원이며, 6% 세율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300만원 × 6% = 78만원

즉, 1,300만원을 벌었을 때 소득세는 78만원입니다. 이 금액은 기본공제 등 추가 공제를 적용하기 전의 금액입니다.

1,300만원 소득 → 78만원 소득세


공제 혜택도 함께 살펴보기

2025년에는 기본공제 금액도 인상되었습니다. 근로소득자 기본공제가 150만원에서 180만원으로 올랐습니다. 이는 실제 과세표준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 기본공제: 180만원
  • 자녀 세액공제, 연금계좌 세액공제 등 추가 혜택도 확대

공제를 모두 적용하면 실제 납부하는 세액은 더 줄어듭니다.


지방소득세는 어떻게 되나요?

국세(소득세) 외에도 지방소득세가 별도로 부과됩니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입니다. 위 예시에서 78만원 소득세가 나왔다면, 지방소득세는 7.8만원입니다.

  • 지방소득세 = 소득세 × 10%

즉, 총 납부액은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합산한 금액이 됩니다.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가 추가됩니다.


2025년에는 1,400만원 이하 소득자의 세율이 6%로 유지되며, 공제 혜택도 늘어나 세 부담이 줄어들었습니다.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함께 고려해 계획을 세우시면 더욱 효율적으로 세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