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근로소득세, 구간별 세율로 정확히 계산하는 법






근로소득세 세율 범위별 산출 세액 이해하기

목차

  • 근로소득세 세율표 한눈에 보기
  • 과세표준 구하는 방법
  • 누진공제를 이용한 간단한 계산법
  • 실제 사례로 배우는 세금 계산

근로소득세 세율표 한눈에 보기

근로소득세는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누진세 구조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8단계의 구간이 있으며, 각 구간마다 다른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기본세율
1,400만원 이하6%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15%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24%
8,800만원 초과 ~ 1억 5,000만원 이하35%
1억 5,000만원 초과 ~ 3억원 이하38%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40%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42%
10억원 초과45%

이 세율표가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 계산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핵심은 과세표준을 먼저 구하고, 해당 구간의 세율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과세표준 구하는 방법

근로소득세를 계산하기 전에 ‘과세표준’을 먼저 구해야 합니다. 이는 세금을 계산할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과세표준 = 근로소득금액 – 인적공제 – 연금보험료공제 – 특별소득공제 – 그 밖의 소득공제

예를 들어 연간 근로소득이 5,000만원이고, 각종 공제액이 500만원이라면 과세표준은 4,500만원이 됩니다. 이 금액이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구간에 해당하므로 24%의 세율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누진공제를 이용한 간단한 계산법

모든 소득에 대해 각 구간별로 따로 계산하는 것은 번거롭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누진공제’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누진공제를 사용하면:

  • 과세표준에 해당 구간의 세율을 곱합니다
  • 그 결과에서 누진공제액을 빼면 됩니다

예를 들어 과세표준이 6,500만원이라면:

6,500만원 × 24% = 1,560만원
이 금액이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구간에 해당하므로
누진공제액 576만원을 적용합니다.


실제 사례로 배우는 세금 계산

사례 1: 연간 소득 1억원

근로소득금액 1억원에서 인적공제 등 3,500만원을 공제하면 과세표준은 6,500만원입니다.

  • 적용되는 세율: 24%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 세금 계산: 6,500만원 × 24% – 576만원 = 984만원

사례 2: 연간 소득 2억원

근로소득금액 2억원에서 각종 공제를 받아 과세표준이 1억 5,000만원이라면:

  • 적용되는 세율: 38% (1억 5,000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세금 계산: 1억 5,000만원 × 38% – 1,944만원 = 3,756만원

핵심 포인트 정리

근로소득세 계산의 3가지 단계를 기억하세요:

  1. 과세표준 계산: 근로소득에서 각종 공제액을 뺀 금액
  2. 해당 구간 확인: 과세표준이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
  3. 세액 계산: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누진공제를 사용하면 복잡한 계산 없이도 정확한 세금을 구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연봉과 공제액을 파악하고 있다면, 이 방법으로 간단히 예상 세액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