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근로소득세 세율, 단계별로 쉽게 이해하는 산출 과정

매년 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근로소득세 세율세금 산출 방식입니다. 실제로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어떤 구간별로 세율이 달라지는지 잘 모르면 내 소득에 맞는 세금이 정확히 얼마인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근로소득세 세율과 단계별 산출 과정을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 근로소득세란?
  • 과세표준과 세율 구간
  • 단계별 세금 산출 예시
  • 누진공제란 무엇인가?
  • 공제 항목과 세금 감면

근로소득세란?

근로소득세는 근로자가 받는 급여, 상여금 등에서 원천징수되는 세금입니다. 이 세금은 소득 금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일정 금액 이상일수록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즉, 소득이 많을수록 세금도 더 많이 내는 누진세제가 적용됩니다.

근로소득세는 소득에 따라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게 적용되며, 각 구간마다 누진공제 금액이 있습니다.


과세표준과 세율 구간

2025년 기준 근로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구간별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
1,400만 원 이하6%0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15%84만 원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24%624만 원
8,800만 원 초과 ~ 1억 5,000만 원 이하35%1,536만 원
1억 5,000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38%3,706만 원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40%9,406만 원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42%17,406만 원
10억 원 초과45%38,406만 원

예를 들어, 과세표준이 6,000만 원이라면 5,000만 원 초과 구간에 해당되어 24%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단계별 세금 산출 예시

과세표준이 6,000만 원인 경우, 세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5,000만 원까지는 15% 구간, 84만 원 누진공제 적용
  • 5,000만 원 초과 1,000만 원은 24% 구간, 624만 원 누진공제 적용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5,000만 원 × 15%) + (1,000만 원 × 24%) – 624만 원 = 750만 원 + 240만 원 – 624만 원 = 366만 원

즉, 6,000만 원의 과세표준에 대해 366만 원의 세금이 산출됩니다.


누진공제란 무엇인가?

누진공제는 각 구간별로 세금 계산 시 일정 금액을 빼주는 제도입니다. 이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세금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도록 완충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5,000만 원 초과 구간에서는 624만 원을 누진공제로 빼줍니다.

누진공제는 소득 구간별로 정해진 금액을 세금 계산 시 빼주는 제도입니다.


공제 항목과 세금 감면

근로소득세는 과세표준에서 다양한 공제 항목을 뺀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대표적인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공제
  • 인적공제
  • 연금보험료공제
  • 특별소득공제
  • 기타 소득공제

이러한 공제 항목을 모두 적용하면 과세표준이 줄어들어 세금 부담도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연금보험료를 납부했다면 해당 금액만큼 세금이 감면됩니다.

공제 항목을 잘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근로소득세는 소득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고, 누진공제와 다양한 공제 항목이 적용되어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간별로 세율과 누진공제를 이해하고, 공제 항목을 잘 활용하면 내 소득에 맞는 세금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