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세가 사라지는 현실
2025년, 전세 물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한 아파트 단지에서 900가구 중 전세 매물이 단 2건뿐인 상황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600가구 단지에 전·월세 매물이 아예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세 재계약이 어려워지면서 집주인들이 매도하거나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전세 재계약 대신 매도나 월세 전환, 내년부터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
왜 전세가 줄어드는가?
전세 물량이 줄어드는 가장 큰 원인은 등록임대주택 자동말소입니다. 2017년 정부가 장기 일반임대주택 등록을 장려하며 공급했던 8년 의무임대 물량이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종료되고 있습니다. 이들 주택은 그동안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전세 공급원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의무임대 기간이 끝나면 집주인들은 보유세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전세 재계약보다는 매도하거나 월세로 전환하는 선택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만 해도 2025년 3754호, 2026년 2만2822호 등 대규모 물량이 시장에서 이탈할 예정입니다.
월세화의 가속화
전세가 줄어들면서 월세로 전환하는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피스텔과 빌라의 월세 전환율이 아파트보다 훨씬 높습니다. 2022년 이후 7월까지 오피스텔 월세 총액은 80%, 빌라는 66% 증가해 아파트 47%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전국 세입자들이 월세로 지출하는 금액은 월 1조 4000억 원에 달해 연간 17조 원 규모로 확대됐습니다. 5년 전과 비교하면 2.6배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가구당 평균 월세도 64만 7000원에서 80만 6000원으로 24.6% 상승했습니다.
“월세 매물 자체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장기전세주택의 한계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은 주변 시세 대비 약 80% 수준의 임대료로 최대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어 시민들의 주거 안정을 크게 높이는 정책입니다. 하지만 사업 참여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용적률 인센티브 체계의 구조적 한계 등이 핵심 원인입니다.
재개발·재건축 등 다른 사업 유형과 비교했을 때,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에 부여되는 용적률 인센티브가 상대적으로 낮아 유인 효과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사업참여 의지가 약화되고 있습니다.
전세 멸종의 사회적 의미
전세가 사라지면 주거 시장의 구조가 크게 바뀝니다. 집주인의 실거주나 매매 선택권이 제한되는 장기 임대 구조가 전세 시장 유인을 약화시킵니다. 전세가 사라지면 세입자들은 월세 부담이 커지고, 주거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전세 멸종은 단순히 주거 형태의 변화가 아니라, 사회 전반의 주거 안정과 경제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앞으로 전세가 사라진다면, 주거 정책과 시장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전세 멸종은 단순한 주거 형태의 변화가 아니라, 사회 전반의 주거 안정과 경제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