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명 피해자, 5,800억 원 손실… 위메프 파산 이후 재정 회복 방법






위메프 파산 피해자 재정 회복 노력

목차


위메프 파산의 현실

2024년 7월 말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충격을 주었던 온라인 쇼핑몰 위메프가 2025년 11월 10일 결국 파산 선고를 받았습니다.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한 지 정확히 1년 4개월 만의 일입니다.

위메프는 회생계획 인가 이전에 인수합병을 추진했지만, 새로운 주인을 찾는 데 실패했습니다. 법원은 “사업을 청산할 때의 가치가 사업을 계속할 때의 가치보다 크다”는 판단 하에 회생절차를 폐지하고 파산을 선고했습니다.

피해자들이 직면한 상황

이번 파산으로 약 10만 8,000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으며, 총 피해 규모는 약 5,800억 원에 달합니다.

회사의 총자산은 486억 원, 부채 총계는 4,462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파산 절차에서는 임금, 퇴직금, 조세 채권 등 재단채권이 우선 변제되기 때문에, 일반 채권자인 판매자들이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은 사실상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채권 신고 절차와 일정

피해자들이 해야 할 첫 번째 단계는 채권 신고입니다. 다음 일정을 꼭 기억해주세요:

  • 채권 신고 기한: 2026년 1월 6일
  • 채권자집회 및 채권조사 기일: 2026년 1월 27일
  • 관할 법원: 서울회생법원
  • 파산관재인: 임대섭 변호사

채권 신고 기한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한 내에 채권을 신고해야만 추후 배당 절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법적 대응 방법

피해자들은 몇 가지 법적 옵션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1. 채권자 집회 참석

2026년 1월 27일 서울회생법원에서 열리는 채권자집회에 참석하여 회사의 재산 현황과 배당 전망에 대해 보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전문가 상담

변호사나 법률 상담 기관에 문의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법적 대응 방법을 논의해보세요.

3. 집단 소송 검토

다른 피해자들과 함께 집단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피해 복구를 위한 개인적 노력

법적 절차 외에도 피해자들이 할 수 있는 노력들이 있습니다:

세무 신고

손실액을 기록하고 필요시 세무 당국에 신고하여 세정상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증거 자료 보관

거래 내역, 계약서, 송금 기록 등 모든 증거 자료를 정리하여 보관하면 향후 법적 대응에 도움이 됩니다.

금융 관리 재정비

손실된 금액을 고려하여 장기 재정 계획을 세우고, 차입금 상환 일정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산관재인 문의: 02-523-5561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