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간에 재산을 증여할 때 꼭 알아야 할 것이 바로 증여세입니다. 단순히 ‘돈을 받으면 세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증여세는 누가 누구에게, 얼마를 증여하는지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증여세의 산출 공식과 실제 계산 방법을 쉽게 풀어드릴게요.
목차
증여세 산출 공식
증여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증여세 과세가액 – 증여재산공제금액) × 세율 – 누진공제액 = 산출세액
이 공식을 하나씩 살펴보면,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에서 공제금액을 빼고, 남은 금액에 세율을 곱한 뒤, 누진공제액을 빼면 최종적으로 내야 할 증여세가 나옵니다.
과세표준과 공제금액
증여세 과세표준은 증여받은 재산의 시가에서 공제금액을 뺀 금액입니다. 공제금액은 수증자와 증여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집니다.
- 성년 자녀: 5,000만 원
- 미성년 자녀: 2,000만 원
- 배우자: 6억 원
- 직계비속(손자녀 등): 5,000만 원
예를 들어, 아버지가 아들에게 1억 원을 증여하면, 1억 원에서 5,000만 원을 공제해 과세표준은 5,000만 원이 됩니다.
세율과 누진공제
증여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진 초과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세율도 높아지고, 누진공제액도 달라집니다.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
| 1억 원 이하 | 10% | 0원 |
| 5억 원 이하 | 20% | 1,000만 원 |
| 10억 원 이하 | 30% | 6,000만 원 |
| 30억 원 이하 | 40% | 1억 6,000만 원 |
| 30억 원 초과 | 50% | 4억 6,000만 원 |
과세표준이 1억 원을 넘으면 20% 세율이 적용되며, 1,000만 원을 누진공제합니다.
실제 계산 예시
아래는 증여세 계산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현금 1억 원 증여 (성년 자녀)
- 증여재산가액: 1억 원
- 공제금액: 5,000만 원
- 과세표준: 5,000만 원
- 세금 계산식: 5,000만 원 × 10% = 500만 원
- 산출세액: 500만 원
- 현금 5억 원 증여 (성년 자녀)
- 증여재산가액: 5억 원
- 공제금액: 5,000만 원
- 과세표준: 4억 5,000만 원
- 세금 계산식: 4억 5,000만 원 × 20% – 1,000만 원 = 8,000만 원
- 산출세액: 8,000만 원
이처럼 증여금액과 관계에 따라 증여세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증여세 계산 영상으로 이해하기
아래 영상은 증여세 계산 방법을 가장 쉽게 설명해줍니다. 실제 계산 과정을 따라가며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는 단순히 받은 금액만으로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공제금액과 누진공제, 세율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됩니다. 가족 간 재산 증여를 고려하신다면, 위 공식과 예시를 참고해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