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만원 넘으면 세금이 15%? 5,000만원 이하 소득자의 세율과 실제 납부 예시

목차


과세표준 1,4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 세율은?

연간 소득이 1,400만원을 넘고 5,000만원 이하라면, 소득세율은 15%가 적용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전체 소득에 15%를 곱하는 것이 아니라, 초과누진세율 방식이 적용됩니다. 즉, 1,400만원까지는 6%만 내고, 그 이상 금액에 대해서만 15%가 곱해집니다.

1,400만원 이하: 6%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 84만원 + (1,400만원 초과 금액 × 15%)


세금 계산, 어떻게 되는가?

예를 들어, 연간 소득이 3,000만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1,400만원까지는 6%만 곱하면 되고, 나머지 1,600만원(3,000만원 – 1,400만원)에 대해서는 15%가 적용됩니다.

  • 1,400만원 × 6% = 84만원
  • 1,600만원 × 15% = 240만원
  • 총 소득세 = 84만원 + 240만원 = 324만원

이처럼, 소득이 많아질수록 세율이 높아지지만, 모든 소득에 동일한 세율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초과된 금액에 대해서만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실제 납부 예시로 알아보는 세금 부담

다른 예시로, 연간 소득이 4,500만원인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 1,400만원 × 6% = 84만원
  • 3,100만원(4,500만원 – 1,400만원) × 15% = 465만원
  • 총 소득세 = 84만원 + 465만원 = 549만원

이처럼, 소득이 4,500만원이라면 실제로 내는 소득세는 549만원입니다. 1,400만원을 넘는 금액에 대해서만 15%가 적용되기 때문에, 전체 소득에 15%를 곱하는 것보다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소득 3,000만원 → 소득세 324만원
소득 4,500만원 → 소득세 549만원


왜 초과누진세율 방식일까?

초과누진세율은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게 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모든 소득에 동일한 세율을 적용하면 저소득층에게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1,400만원까지는 6%만 내고, 그 이상 금액에 대해서만 15%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식은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게 하면서도, 저소득층의 세금 부담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1,400만원을 넘는다면, 초과된 금액에 대해서만 15%가 적용된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이처럼, 소득세율은 단순히 전체 소득에 세율을 곱하는 것이 아니라, 초과누진세율 방식이 적용됩니다.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내게 되지만, 저소득층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식이니, 자신의 소득에 맞는 세금 부담을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