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천징수영수증이 뭔가요?
원천징수영수증은 지난해 당신이 받은 소득과 그에 따라 낸 세금을 정리한 서류예요. 보통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끝낸 후 발급해주는데, 이 문서 하나로 당신의 세금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회사가 발급해야 하지만, 여러 이유로 받지 못했다면 국세청 홈택스에서 직접 조회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홈택스에서 확인하는 방법
단계별로 따라가보세요
1단계: 홈택스 로그인하기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개인으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할 수 있어요.
2단계: My홈택스 메뉴 진입
로그인하신 후 상단의 ‘My홈택스’를 클릭해주세요. 여기가 당신의 세금 정보를 확인하는 중앙 허브입니다.
3단계: 소득·연말정산 메뉴 선택
왼쪽 메뉴에 있는 ‘소득·연말정산’을 클릭하면 다양한 옵션들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지급명세서·원천징수영수증 내역’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4단계: 원천징수영수증 조회하기
귀속년도를 선택하신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당신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영수증 어떻게 읽을까요?
꼭 알아야 할 핵심 항목들
원천징수영수증에는 많은 정보가 담겨 있지만, 몇 가지 중요한 항목만 이해하면 충분합니다.
소득자 정보
맨 위에 당신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기본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오류가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징수의무자(회사) 정보
당신에게 월급을 준 회사의 정보가 기재됩니다. 회사명, 사업자등록번호, 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소득 정보
연간 총 급여 금액과 근무 기간이 기록됩니다. 지난 한 해 당신이 실제로 받은 급여가 맞는지 체크하는 부분입니다.
환급금 확인하는 쉬운 방법
차감징수세액 한 가지만 보세요
환급금이 얼마나 되는지 알고 싶으신가요?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원천징수영수증에서 ’77 차감징수세액’이라는 항목만 확인하면 됩니다.
이 항목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차감징수세액 = 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숫자 해석하는 방법
- 음수(-)가 나오면: 환급받을 돈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정산하니 당신이 낸 세금이 너무 많다는 뜻이에요.
- 양수(+)가 나오면: 추가로 납부해야 할 돈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세금을 더 내야 하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77 차감징수세액’이 -500,000이라고 되어 있다면, 당신은 50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내년 절세를 위한 팁
원천징수영수증을 한 번 확인하면서 놓친 공제항목이 있는지 살펴보세요. 연금저축, 보험료, 교육비, 기부금 등 다양한 공제항목들이 있습니다.
이 영수증에 기록된 공제내역을 검토하면 내년 연말정산에서 어떤 항목을 더 신경 쓸 수 있을지 파악할 수 있어요. 그러면 절세에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