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누진세율 구조 이해하기
근로소득세는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받는 누진세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저소득층을 보호하고 고소득층에 더 많은 세금을 걷기 위한 정책입니다.
특히 연간 소득이 1억5천만원을 넘어가는 순간, 세율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같은 금액을 벌어도 소득 구간에 따라 납부해야 할 세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1억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세율 상세 분석
세율 기본 구조
1억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소득 구간의 세금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액 = 3,706만원 + (1억5천만원 초과금액의 38%)
이 구조를 풀어서 설명하면, 우선 기본적으로 3,706만원의 세금을 내야 하고, 1억5천만원을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38%의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누진공제 개념
위 공식에서 3,706만원은 ‘누진공제’라고 부릅니다. 이는 세금 계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금액으로, 중복 과세를 방지합니다.
실제 세금 계산 예시
예시 1: 연봉 2억원인 경우
계산 과정:
- 1억5천만원 초과금액 = 2억원 – 1억5천만원 = 5천만원
- 초과금액에 대한 세금 = 5천만원 × 38% = 1,900만원
- 총 세액 = 3,706만원 + 1,900만원 = 5,606만원
예시 2: 연봉 2억5천만원인 경우
계산 과정:
- 1억5천만원 초과금액 = 2억5천만원 – 1억5천만원 = 1억원
- 초과금액에 대한 세금 = 1억원 × 38% = 3,800만원
- 총 세액 = 3,706만원 + 3,800만원 = 7,506만원
고소득자가 꼭 알아야 할 팁
세금 부담이 가파르게 상승합니다
1억5천만원 구간에서는 소득이 1,000만원 증가할 때마다 세금이 평균 380만원씩 증가합니다. 이전 구간(8,800만원~1억5천만원)의 35% 세율보다 3%p 높아집니다.
3억원 구간과의 비교
만약 소득이 3억원을 넘어가면 세율이 40%로 올라갑니다. 1억5천만원 초과 3억원 이하 구간에서는 아직 38% 세율이 적용되므로, 연말정산 계획을 세울 때 이 지점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좋습니다.
공제와 감면 활용
높은 소득이라 해도 기본공제, 부양가족공제, 보험료공제 등 다양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충분히 활용하면 실제 납부액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 계산이 복잡해집니다. 특히 1억5천만원을 넘어가는 고소득층이라면 자신의 정확한 과세표준을 파악하고, 매년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