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토지거래허가제, 전 세계는 이미 시행 중입니다 – 주요 국가 5곳 비교분석






토지거래허가제 도입 사례와 해외 비교


목차


들어가며: 한국의 새로운 제도

여러분, 혹시 외국인의 토지 매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한국은 최근 외국인 토지거래허가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런 제도는 이미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운영 중입니다. 오늘은 한국과 해외 주요 국가들의 토지 규제 정책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한국의 토지거래허가제란?

한국에서 도입된 외국인 토지거래허가제는 특정 지역에서 외국인의 토지 매입을 미리 허가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 외국인이 토지를 취득할 때 정부의 사전 승인이 필수입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비거주 외국인의 주택 취득을 제한하고, 사전 승인제를 더욱 강화할 계획을 추진 중입니다. 이는 주택 가격 상승 억제투기 차단을 목표로 합니다.


해외 주요 국가의 외국인 규제

🇦🇺 호주: 가장 엄격한 규제 체계

호주는 외국인이 신축 주택만 매입할 수 있고, 기존 주택은 원칙적으로 금지합니다. 외국인 투자심의위원회(FIRB)의 사전 승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외국인이 구매한 주택이 장기간 비어 있으면 공실세를 부과한다는 것입니다. 일부 주에서는 최대 8%의 추가 인지세까지 적용합니다.

🇸🇬 싱가포르: 세금으로 막는 방식

싱가포르는 공공주택(HDB) 매입을 전면 금지하고, 민간 주택 구매 시 최대 60%의 추가 구매자 인지세(ABSD)를 부과합니다. 내국인 대비 4~5배 높은 세율로 외국인의 시장 진입을 차단합니다.

🇨🇳 중국: 내국인도 제한하는 강경 정책

중국은 흥미롭게도 내국인도 투자 목적 부동산 보유를 강하게 제한합니다. 외국인은 거주용 주택 1채만 구입 가능하며, 투기 수요 억제에 강한 의지를 보입니다.

🇨🇭 스위스: 연간 취득 건수 제한

스위스는 외국인 부동산 총량제를 시행해 매년 허용되는 취득 건수를 미리 정합니다. 특정 국적자에게는 주택 1채만, 투자 목적 매입은 원칙적으로 금지됩니다.

🇹🇭 태국: 독특한 지분 제한 방식

태국은 토지 소유를 원칙적으로 금지하지만, 콘도미니엄의 경우 외국인 지분이 49%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매입을 허용합니다. 초과하면 법적으로 소유권이 무효화됩니다.


나라별 규제 정책 비교

국가핵심 규제 방식특징
호주신축만 허용 + 추가 세금가장 엄격, 공실세 부과
싱가포르공공주택 금지 + 60% 세금세금을 통한 진입 장벽
중국1채만 허용내국인도 강하게 제한
스위스연간 건수 제한총량제 방식의 규제
태국지분율 49% 제한콘도만 허용, 토지 불가

한국이 배워야 할 점

해외 주요국들은 외국인 부동산 거래에 대해 매우 적극적인 제한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주택 매입을 제한하거나 임대 방식만 허용하는 국가들이 대부분입니다.

현재 한국 제도의 한계

한국의 토지거래허가제는 범위 면에서 해외 주요국들보다 다소 소극적입니다. 많은 선진국들은 외국인의 기존 주택 매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한국은 아직 이 정도 수준의 규제를 시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

특히 한국의 독특한 주거문화인 전세제도와 결합되면 갭투자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현재의 2년 실거주 의무기간만으로는 투기를 충분히 차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향후 정책 방향

정부는 해외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검토 중입니다:

  • 기초자치단체장의 규제권 확대 –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권한 강화
  • 상호주의 원칙 적용 – 한국인에게 부동산 취득을 제한하는 국가는 같은 수준으로 규제
  • 신축 주택 중심의 규제 – 기존 주택 규제 강화 검토
  • 세금 기반 규제 – 추가 인지세나 공실세 도입 고려

한국이 글로벌 수준의 외국인 부동산 규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호주, 싱가포르 같은 선진국들의 정책을 더욱 면밀히 분석하고, 한국 고유의 주거 상황에 맞는 맞춤형 규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