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위메프 파산, 무엇이 일어났는가
2024년 7월 말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일으킨 전자상거래 플랫폼 위메프가 결국 파산의 길로 접어들었습니다. 서울회생법원은 2025년 11월 10일 위메프의 회생절차 폐지를 확정하고 파산을 선고했습니다. 회생절차 신청 후 정확히 1년 4개월 만의 일입니다.
법원은 “회사의 사업을 청산할 때의 가치가 사업을 계속할 때의 가치보다 크다”며 회생 불가능 판단을 내렸습니다. 인수합병(M&A)을 추진했지만 인수자를 찾는 데 실패한 위메프는 결국 이러한 결말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피해 규모와 피해자 현황
위메프 사태의 규모는 실로 심각합니다.
- 피해자 수: 약 10만 8,000명
- 피해 규모: 약 5,800억 원
- 회사 총자산: 486억 원
- 부채 총계: 4,462억 원
숫자만으로도 얼마나 많은 판매자들이 피해를 입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약 11배에 달하는 부채가 자산을 압도하고 있으며, 피해 규모는 자산의 12배를 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 선정산 대출의 문제점
이번 사태의 핵심은 금융기관의 선정산 대출 구조에 있습니다. 선정산 대출이란 판매자들이 팔린 상품의 대금을 미리 받을 수 있도록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 서비스입니다.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플랫폼이 정산금을 지급하지 못할 경우 판매자가 모든 손실을 감당
- 금융기관은 플랫폼의 자금 능력을 충분히 검증하지 않은 채 대출 제공
- 판매자는 받은 대금뿐 아니라 대출금까지 갚아야 하는 이중 부담
- 플랫폼 부실 경영에 대한 감시 기능 부족
채권 회수 전망과 과제
파산절차에서는 재단채권이 우선 변제됩니다. 임금, 퇴직금, 조세 채권 등이 먼저 처리되기 때문에 일반 채권자인 판매자들이 돌려받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채권자들은 2025년 1월 6일까지 서울회생법원에 채권을 신고해야 하며, 1월 27일 채권자집회와 채권조사 기일이 열릴 예정입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구제율이 0%에 가까울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파산절차에서는 임금·퇴직금·조세 채권 등 재단채권이 우선 변제되기 때문에, 일반 채권자인 판매자들이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은 사실상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필요한 것들
이번 위메프 사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금융기관 간의 관계 정립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플랫폼의 재무 건전성 검증 강화, 판매자 보호 규제 확대, 선정산 대출 상품의 위험성 공시 의무화 등이 시급합니다.
약 10만 명의 피해자들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입었습니다. 이들의 교훈이 산업 전체의 개선으로 이어지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