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재산 공제금액 5가지 핵심 기준 완벽 정리!






증여재산 공제금액 5가지 핵심 기준 완벽 정리!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받을 때 부과되는 세금이지만, 일정 금액까지는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는 증여재산 공제 제도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증여세 공제금액의 세부 기준을 쉽고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증여재산 공제란 무엇인가?

증여재산 공제는 증여를 받을 때 일정 금액까지는 증여세 과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제도입니다. 즉, 증여자가 주는 재산이 일정 한도 이내라면 수증자는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

이 제도는 가족 간 재산 이전 시 과도한 세금 부담을 줄이고, 자녀 결혼이나 출산 등 중요한 가족 행사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대표적인 증여재산 공제 한도 금액

증여재산 공제 한도는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다릅니다. 주요 공제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배우자 : 6억원
  • 직계존속(부모, 계부, 계모 포함) : 5천만원
    *미성년자가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에는 2천만원으로 제한됩니다.
  • 직계비속 : 5천만원
  • 기타 친족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 1천만원

이 한도는 10년간 합산하여 공제 가능한 금액임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3. 10년 합산기간의 의미와 적용

증여재산 공제는 10년이라는 기간 안에 받은 증여재산을 모두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으로부터 증여 공제 한도인 5천만원을 받았는데 10년 이내에 또 증여를 받을 경우, 두 번째 증여에 대해서는 남은 공제 한도만 적용됩니다.

“10년 내에 공제받은 금액을 초과하는 증여재산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4. 혼인·출산에 따른 추가 공제

2024년부터는 결혼과 출산 시에 증여세 공제 혜택이 더 커졌습니다.

  • 혼인 증여재산 공제: 기존 5천만원 공제에 더해 1억원의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 즉, 혼인 시 자녀 1인당 최대 1억5천만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 출산 증여재산 공제: 자녀 출생일 기준 2년 이내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는 경우 1억원까지 추가 공제가 허용됩니다.

다만, 혼인과 출산 공제는 통합 한도를 적용하기 때문에 두 가지 공제를 모두 활용하더라도 총 공제액이 1억원을 넘지 않습니다.


5. 증여세 과세표준과 세율 구조

증여재산 공제액을 뺀 나머지 증여재산에 대하여는 증여세율이 적용됩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누진세율 표입니다.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
1억원 이하10%
1억원 초과 ~ 5억원 이하20%1천만원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30%6천만원
10억원 초과 ~ 30억원 이하40%1억 6천만원
30억원 초과50%4억 6천만원

예를 들어 배우자로부터 6억원을 증여받는 경우는 공제로 인해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지만,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위 세율이 적용됩니다.


관련 유튜브 영상 : 증여세 완전정복

위 영상은 증여세 및 공제금액에 대한 핵심사항을 쉽게 설명하고 있어 참고하시기에 좋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