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증여세 계산과 공제제도, 이거 하나면 끝!




주식 증여세 계산과 공제제도, 이거 하나면 끝!

가족이나 친지에게 주식을 증여할 때, 꼭 알아야 할 증여세와 공제제도.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만 콕콕 짚어 알려드립니다.


목차


주식 증여세란?

주식 증여세는 증여자가 주식을 무상으로 타인에게 넘길 때, 수증자가 내는 세금입니다. 증여받은 주식의 시가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며, 일정 금액까지는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증여세 계산 방법

증여세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계산합니다.

  1. 증여받은 주식의 시가를 산정합니다.
  2. 증여재산공제 한도를 차감합니다.
  3. 남은 금액에 증여세율을 적용해 세액을 계산합니다.

이때 증여재산공제는 10년 이내에 동일인에게 받은 증여재산을 합산해 적용합니다.


증여재산 공제 한도

증여세 공제 한도는 수증자와의 관계에 따라 다릅니다.

수증자공제 한도
배우자6억 원
직계비속(성인 자녀)5천만 원
직계비속(미성년 자녀)2천만 원
직계존속(부모)5천만 원
기타 친족1천만 원

이 공제 한도는 10년 이내 증여 이력이 있을 경우 합산됩니다.


상장주식 vs 비상장주식 평가 기준

주식의 종류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 상장주식: 증여일 전후 2개월간의 종가 평균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 비상장주식: 매매사례가액이 있으면 그 가격을, 없으면 순손익가치와 순자산가치를 가중평균해 평가합니다.

비상장주식의 경우, 국세청의 보충적 평가 방식이 적용됩니다.


증여세율과 누진공제

증여세율은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누진적으로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액
1억 원 이하10%없음
1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20%1천만 원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30%6천만 원
10억 원 초과 ~ 30억 원 이하40%1억 6천만 원
30억 원 초과50%4억 6천만 원

누진공제액은 세액 계산 시 차감됩니다.


실제 증여세 계산 예시

성인 자녀에게 1억 원 상당의 상장주식을 증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증여재산: 1억 원
  • 공제: 5천만 원
  • 과세표준: 5천만 원
  • 세율: 10%
  • 증여세: 500만 원

배우자에게 3억 원 상당의 비상장주식을 증여하는 경우도 비슷한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증여세 신고와 유의사항

증여세는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신고기한 내에 신고·납부하면 산출세액의 3%가 공제됩니다.

증여세 신고는 홈택스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 신고 시에는 증여재산의 평가, 공제 한도, 세율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