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 유포되는 보이스피싱 주의사항
– 지금 당장 알아야 할 10가지 핵심 팁
목차
- 보이스피싱이란 무엇인가?
- SNS에서 보이스피싱이 급증하는 이유
- SNS 보이스피싱 의심 징후 5가지
- SNS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10가지 주의사항
- 실제 피해 사례와 대처법
- 보이스피싱 예방 영상 소개
보이스피싱이란 무엇인가?
보이스피싱은 전화, 문자, 메신저, SNS 등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해 피해자의 금융정보나 개인정보를 속여 빼내는 사기 범죄입니다. 주로 금융기관, 정부기관, 지인 등을 사칭하여 신뢰를 얻은 뒤 금전을 요구하거나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합니다.
최근에는 SNS를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SNS에서 보이스피싱이 급증하는 이유
- 친밀감 형성 : SNS 특성상 친구나 가족, 지인인 것처럼 접근하면 피해자가 경계심을 낮추기 쉽습니다.
- 가짜 계정 이용 : 최근 생성된 가짜 계정, 활동이 적은 계정들이 범죄에 악용됩니다.
- 빠른 확산성 : 메시지, 댓글, DM 등으로 빠르게 다수에게 확산되어 피해 규모가 커집니다.
- 악성 링크 및 앱 설치 유도 : 링크 클릭이나 앱 설치를 유도해 개인정보 탈취 악성코드를 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SNS는 일상생활과 연결되어 있기에 피해자가 속기 쉽고, 피해가 커지기 쉽습니다.
SNS 보이스피싱 의심 징후 5가지
- 최근에 생성된 계정이 금전 요청을 할 때
- 친구 수가 극히 적거나 게시물이 없는 계정에서 연락이 올 때
- 급히 돈을 빌려달라는 메시지가 왔을 때
- 개인정보 또는 인증번호를 요구할 때
- 모르는 사람이 보낸 링크나 파일을 열어달라고 할 때
이러한 상황에서는 즉시 의심하고, 메시지를 차단한 뒤 상대방에게 직접 전화 확인을 권장합니다.
SNS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10가지 주의사항
- 수상한 문자, 메시지는 바로 삭제하고 전화를 끊으세요. 금융기관, 경찰, 검찰 등 공공기관은 전화로 금전 요구를 하지 않습니다.
- 출처가 불분명한 앱 설치를 절대 허용하지 마세요. 스마트폰 설정에서 알 수 없는 출처 앱 설치 차단을 활성화하세요.
- 개인 연락처를 SNS나 인터넷 댓글 등에 함부로 남기지 마세요. 대부광고나 신용 점수 올려준다는 말은 사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 메신저에서 금전 요청 시 반드시 전화로 본인 여부를 확인하세요.
- 모르는 사람이 보내온 파일이나 인터넷 링크는 실행하지 마세요. 악성코드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바꾸고, 사용하지 않는 메신저 계정은 삭제하세요.
- 휴대폰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예: 엠세이퍼)를 가입하여 명의 도용 피해를 예방하세요.
- 금융거래 시 본인 확인 절차를 철저히 하고, 의심스러운 거래는 즉시 중단하세요.
- SNS 친구 요청이 갑자기 늘거나 이상한 계정에서 친구 요청이 오면 주의하세요.
- 피해가 의심되면 즉시 경찰(112) 또는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여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실제 피해 사례와 대처법
최근 SNS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 중에는 자녀나 친인척을 사칭해 급하게 돈을 빌려달라는 메신저 피싱이 많습니다. 피해자는 급한 마음에 송금을 하지만, 이는 전형적인 보이스피싱 수법 중 하나입니다.
대처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전 요청이 오면 꼭 전화로 직접 확인합니다.
- 출처가 불분명한 메시지나 링크는 열지 않습니다.
- 피해가 의심되면 즉시 112에 신고하고, 해당 계좌에 대한 지급 정지를 요청합니다.
- 금융결제원의 ‘내계좌 한눈에’ 서비스로 본인 모르게 개설된 계좌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보이스피싱 피해는 한 가정 전체에 심각한 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줍니다. 조기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예방 영상 소개
아래 영상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예방법과 최신 수법을 알려줍니다. 꼭 시청하시고 주변 가족, 친구와 공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