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고형 약국 앞으로의 전망과 가능성






창고형 약국 시장 분석

2025년 창고형 약국, 한국 의약품 시장을 뒤흔드는 4가지 변화와 미래 전망


목차


창고형 약국이란 무엇인가?

2025년 7월, 경기도 성남에 개설된 한국 최초의 창고형 약국은 기존의 약국 개념을 완전히 뒤바꿔 놓았습니다. 대형마트처럼 운영되는 이 약국은 약사의 개입 없이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할 수 있는 혁신적인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창고형 약국의 가장 큰 특징은 약 2,800종의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을 한곳에서 판매한다는 점입니다. 전문의약품(처방약)은 취급하지 않고, 감기약, 영양제, 밴드, 파스, 소화제 등 일반의약품과 의약외품, 반려동물 의약품만을 판매합니다.

약 460㎡(140평)에서 시작한 이 매장은 천장까지 높게 뻗은 진열 선반으로 가득 찬 모습이 전형적인 약국보다는 약국 형태의 대형마트에 더 가깝습니다. 고객들은 카트를 끌고 다니며 필요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매장과 계산대에서 총 두 번의 복약지도가 이루어집니다.


폭발적 인기의 비결: 숫자로 본 현황

개설 현황: 빠르게 확산 중

2025년 7월 첫 개설 이후 불과 몇 개월 만에 상황이 급변했습니다. 현재 전국에 100평 이상의 창고형 대형 약국 4곳이 개설되었고, 5~6곳이 추가적으로 개설 준비 중입니다.

개설된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경기도 성남 (최초 개설점)
  • 경기도 고양시
  • 광주광역시 광산구
  • 전북 전주시

특히 전북 전주의 메디플러스약국은 370평 규모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최초 개설점인 140평의 2.6배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고객 반응: 오픈런부터 시작된 인기

개설 초기부터 고객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습니다:

  • 주말 주차량: 2,000대씩 방문하며 최대 1시간 대기
  • 평일 오전에도 오픈런이 이루어질 정도로 인기
  • 고객들이 같은 약을 5통 이상 구매하며 “쟁여놓을 것”이라는 표현까지 나올 정도
  • 상비약 판매대는 항상 사람이 몰려 제품을 집기 위해 한참을 기다려야 할 정도

이러한 인기의 배경에는 비교적 저렴한 약값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습니다.

판매 제품의 확대

개설 초기 약 2,500종에서 시작한 제품군이 300여종이 추가되어 현재 약 2,800종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일반 약국의 평균 취급 품목 수를 훨씬 초과하는 규모입니다.


소비자와 약사 사이의 엇갈린 시각

소비자의 호응: 새로운 쇼핑 경험

창고형 약국이 성공한 이유는 기존 약국과는 완전히 다른 구조에 있습니다. 창고형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는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마트와 편의점이 있는 것처럼 창고형 약국은 기존 약국과는 다른 모델입니다. 기존 약국은 소비자가 약을 고를 수 없어 정보가 비대칭적인데, 마트 같은 창고형 약국은 오히려 익숙한 형태인 만큼 선호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이 말은 한국 약국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기존 약국에서는 약사가 권하는 약을 구매하는 수동적 경험만 가능했지만, 창고형 약국에서는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동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합니다.

약사 단체의 강력한 반발

반면 대한약사회는 창고형 약국에 대해 약사의 전문성과 직업윤리를 훼손했다고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약사 단체가 제기하는 주요 우려 사항은:

  • 약 오남용 가능성 증가: 전문가 상담 없이 약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
  • 지역 약국의 생존 위협: 동네 약국 폐업으로 인한 약국 사막화
  • 공적 기능 상실: 동네 약국이 문을 닫으면 심야와 휴일 당번 약국이 사라질 우려
  • 약사의 핵심 업무 외면: 처방약 조제라는 약사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지 않음

약사회는 개설 기준 재정비, 사전심사 제도 도입, 등록 절차 강화, 사후 관리 강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