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BLoC는 Flutter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UI와 비즈니스 로직을 완벽히 분리하여 코드를 쉽고 재사용 가능하며 테스트하기 좋은 구조로 만드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 글에서는 Flutter BLoC의 기본 개념부터 필수 용어, 장점과 작동 원리까지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Flutter BLoC란 무엇인가?
Flutter BLoC(Business Logic Component)는 UI(프레젠테이션 레이어)와 비즈니스 로직(애플리케이션의 상태와 데이터 처리)을 완벽히 분리하는 아키텍처입니다. 이렇게 분리함으로써 각 부분의 역할이 명확해지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Flutter에서 상태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디자인 패턴으로 자리 잡았으며, 특히 복잡한 앱에서 코드를 간결하고 관리하기 쉽게 만드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2. BLoC 관련 핵심 용어
Stream (스트림)
Dart의 스트림은 비동기 데이터의 연속(flow)을 의미합니다. 마치 파이프 안을 흐르는 물과 같아서,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동기로 전달됩니다. BLoC의 핵심도 이 스트림 개념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Event (이벤트)
이벤트는 BLoC가 처리할 사용자 동작이나 시스템 신호 등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이나 페이지 초기화 시 발생하는 액션이 이벤트로 전달됩니다.
State (상태)
상태는 현재 UI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특정 상태를 의미하며, BLoC는 이벤트를 수신해 내부 로직을 처리한 뒤, 새로운 상태를 화면에 전달하게 됩니다.
Cubit
Cubit은 BLoC의 간소화 버전으로, 이벤트 없이 함수 호출을 통해 상태를 변경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간단한 상태 관리에는 Cubit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3. BLoC의 작동 원리
BLoC는 이벤트를 입력(input)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상태를 출력(output)하는 스트림 기반 아키텍처입니다. 내부에서는 다음 과정으로 작동합니다:
- 사용자는 UI에서 이벤트를 발생시킵니다.(예: 버튼 클릭)
- 이벤트는 BLoC에 전달되어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즈니스 로직이 실행됩니다.
- 비즈니스 로직 수행 결과로 새로운 상태가 만들어집니다.
- 새로운 상태가 화면에 스트림 형태로 전달되면서 UI가 갱신됩니다.
이런 방식은 UI와 로직의 완전한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매우 명확한 책임 분담과 효율적인 리팩토링을 지원합니다.
4. Flutter BLoC의 주요 장점
- UI와 비즈니스 로직 분리로 유지보수 강화: 서로 영향을 끼치지 않아 코드가 깔끔해지고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 코드 재사용성 증대: BLoC를 통한 로직 모듈화로 여러 화면에서 동일한 로직을 쉽고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용이성: 비즈니스 로직은 UI와 독립적이므로,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를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예측 가능한 상태 관리: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태가 변하는 흐름이 표준화되어 예측 가능하며 디버깅이 쉽습니다.
- 협업 효율 상승: 업무 분담 시 UI 개발자와 비즈니스 로직 개발자가 명확히 영역을 나눌 수 있습니다.
5. BLoC 아키텍처 구성요소
1) Event
사용자의 입력 또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행위를 이벤트로 정의합니다. BLoC에 공급되는 데이터로서, 프로그램이 어떤 동작을 해야 할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2) State
애플리케이션 UI가 보여주어야 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벤트 처리 결과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로딩 중, 데이터 표시 등 상태별 UI가 따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3) Stream
이벤트와 상태를 비동기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BLoC는 이벤트를 스트림 형태로 받아 상태를 스트림으로 내보냅니다. 이 통로 덕분에 비동기 처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집니다.
4) Bloc 클래스
BLoC 아키텍처의 핵심 클래스입니다. 이벤트를 받고, 그에 따른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한 후 상태를 emit합니다. 이벤트별로 상태가 어떻게 변할지 mapEventToState 함수 내부에 구현합니다.
5) Cubit
Cubit은 Bloc의 변형으로,이벤트 대신 직접 함수 호출을 통해 상태를 변경합니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상태 관리에 적합합니다.
6. Flutter BLoC 사용 시 유의점 및 팁
- 설계의 단순함 유지: 불필요하게 복잡한 이벤트 및 상태 정의를 피하고, 각 Bloc은 단일 책임 원칙을 준수하세요.
- 비동기 작업 관리: 서버 요청, 데이터베이스 쿼리 등 비동기 작업은 BLoC 내부에서 적절히 관리하여 UI가 응답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 패키지 선택: Bloc 패키지와 함께 equatable, freezed 같은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상태 비교 및 불변성을 강화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테스트 작성: Bloc의 장점 중 하나인 테스트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상태 변화가 예상대로 이루어지는지 반드시 검증하세요.
7. BLoC와 Cubit 비교 및 선택 가이드
BLoC는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반드시 이벤트를 발생시켜야 하는 строг한 아키텍처이고, Cubit은 함수 호출을 통해 보다 직접적으로 상태를 관리합니다.
| 특징 | BLoC | Cubit |
|---|---|---|
| 상태 변경 방식 | 이벤트 기반(간접적 상태 변경) | 함수 호출 기반(직접적 상태 변경) |
| 복잡성 | 복잡한 상태와 이벤트 로직에 적합 | 간단한 상태 관리에 적합 |
| 학습 곡선 | 상대적으로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음 |
| 유지보수 | 명확한 분리와 구조적 관리로 대형 프로젝트에 유리 | 작고 단순한 프로젝트에 적합 |
프로젝트 규모와 복잡성, 개발자 팀의 숙련도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