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세대 OTT 왓챠의 위기와 기업회생절차 돌입, 앞으로의 생존 전략은?

국내 대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기업 ‘왓챠’가 최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업계와 이용자 모두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왓챠가 왜 이 같은 상황에 처하게 되었는지, 주요 원인과 기업회생 절차의 전개,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왓챠의 성장과 현재의 위기

왓챠는 2011년 영화 추천 플랫폼 ‘왓챠피디아’로 시작해, 2016년 스트리밍 서비스 ‘왓챠플레이’를 출시하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이용자의 영화·드라마 취향을 분석해 큐레이션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했고, 예술·독립영화 등 다양한 콘텐츠 확보로 두터운 팬층을 보유했습니다.
초기에는 Google Play와 App Store의 ‘올해의 앱’ 선정 등 화제성과 혁신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2019년 ‘웨이브(Wavve)’와 2020년 ‘티빙(TVING)’, ‘쿠팡플레이’ 등 거대 경쟁사가 진출하며,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의 공세가 심화되었습니다. 국내외 OTT 간 ‘오리지널 콘텐츠 전쟁’ 역시 치열해져,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약한 왓챠는 투자와 제작 경쟁에서 뒤처지며 경영난에 빠졌습니다.


2. 490억 전환사채와 구조적 한계

왓챠는 2021년 약 49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하며 자금 조달에 나섰지만, 지속적 적자로 심각한 재무 압박을 겪게 되었습니다. 전환사채는 2024년 11월 만기에도 상환이 어려웠고, 주요 채권자인 인라이트벤처스(490억 중 200억 투자)의 신청에 의해 법원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판정을 받았습니다.


3. “마지막 반전”을 위한 시도들

이대로 좌절하지 않기 위해 왓챠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뛰어들었습니다. 대표 웹드라마 ‘시멘티게레’는 2022년 칸 국제 시리즈 페스티벌에 초청되는 성과를 냈고, 글로벌 진출이나 웹툰·음악 등 사업 확장도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오리지널 제작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며, 후속 IPO(기업공개)나 M&A(인수합병)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결국 대규모 구조조정과 인력 감축 등 비용 절감에 매달려야 했고, 결과적으로 울타리를 벗어나는 성과를 내기는 역부족이었습니다.


4. 앞으로의 전망과 생존 가능성

왓챠는 법원의 관리 아래 2026년 1월 7일까지 구체적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채권자와 협상하며 부채 조정, 신규 투자 유치, 사업 재정비 등 자구책을 모색 중입니다.
OTT업계에서는 팬덤 기반, 취향 특화 플랫폼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효율경영’과 ‘시장 내 틈새’에 집중한다면, 인수합병(M&A)이나 신규 투자 유치를 통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누적된 490억 원대 채무, 몇 년간의 연속 적자, 시장 신뢰 하락이라는 현실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결국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5. 결론

왓챠는 한국 OTT 업계의 ‘개척자’지만, 지금은 생존 전략을 다시 써야 하는 변곡점에 서 있습니다.
팬덤의 응원,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혁신, 구조조정을 통한 경영 효율화 등 수많은 변수를 안고, 앞으로의 선택과 대응에 시선이 모이고 있습니다.
이번 기업회생절차가 진정한 ‘재도약’의 계기가 될지, 아니면 아쉬운 퇴장이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Leave a Comment